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ESG

성과지표

성과지수 EPI 목표

  • EPI(Eco Performance Index)는 환경경영 활동에 대한 종합 성과관리를 위해 이녹스첨단소재가 자체 개발한 환경부문 성과측정 모델입니다.
  • EPI(Eco Performance Index)는 기후행동지수 3개 지표와 환경투자지수 3개 지표로 구성됩니다.
성과지수(EPI) 성과지수(KPI) 측정 기준 측정 단위 구분 중장기 목표(실적)
2022 2023 2024 2025 2030
기후행동지수 온실가스 감축 원단위 온실가스
감축률
tCO2eq/억원 목표 100% 102.7% 106.8% 110.5% 137.0%
실적 100% 77.6% 80.5% - -
에너지 절감 원단위 에너지
절감율
TOE/억원 목표 100% 102.8% 107.2% 111.7% 133.3%
실적 100% 78.0% 81.6% - -
유해화학물질 저감 원단위 유해화학물질
저감율
TON/억원 목표 100% 103.7% 110.7% 112.5% 133.3%
실적 100% 129.7% 140.5% - -
환경투자지수 친환경 구매 친환경 구매 비중
증대율
구매액 목표 100% 110.0% 112.5% 115.0%
실적 100% 104.6% 107.5% - -
친환경 R&D 투자 친환경 R&D
투자비중 증대율
투자액 목표 100% 107.9% 116.9% 127.6%
실적 100% 104.8% 111.7% - -
친환경 인프라(설비) 투자 친환경 인프라
투자액 증대율
투자액 목표 100% 156.1% 212.2% 212.2%
실적 100% 139.5% 259.0% - -

성과지수(EPI) 가중치 모형

첨단소재 환경 세부목표

구분 추진수단(방법) 단위 2022 2023 2024 2025
실적 목표 실적 목표 실적 목표 목표
온실가스 저감 - 월 온실가스 배출량 모니터링
- 온실가스 저감 컨설팅 및 현장 개선
- 저배출 기술 도입 및 다변화
- 대기전원 최소화
- 미사용 설비 OFF, 퇴근시 컴퓨터 OFF
tCO₂eq/억원 6.37

Scope1 : 7,980
Scope2 : 19,574
6.37

Scope1 : 7,980
Scope2 : 19,574
7.80

Scope1 : 8,633
Scope2 : 19,385
6.195

Scope1 : 9,292
Scope2 : 21,683
7.61

Scope1 : 9,268
Scope2 : 21,155
5.94

Scope1 : 9,801
Scope2 : 22,869
5.699

Scope1 : 10,258
Scope2 : 23,936
에너지 저감 - 월 에너지 사용량 모니터링
- 에너지효율 목표제 사업장 등록
- 노후설비 개선 및 교체
- 고효율 설비 설치
- 대기전원 최소화
- 미사용 설비 OFF, 퇴근시 컴퓨터 OFF
TOE/억원 2.795

12,098
TOE/년
2.795

12,098
TOE/년
3.41

12,254
TOE/년
2.718

13,589
TOE/년
3.31

13,234
TOE/년
2.594

14,270
TOE/년
2.468

14,807
TOE/년
자원순환
이용률
- 생산활동 시 폐기물 발생 최소화
- 폐기물 분리배출 교육
(폐기물/재활용 분리: 폐지, 고철,필름 등)
- 일반폐기물/지정 폐기물 분리 배출
- 이면지 활용 및 전자결재 활용
- 폐기물 원단위 배출량 모니터링(총 배출량/매출액)
% 97.920 97.920 97.140 98.000 92.210 98.200 98.600
TON/억원 0.731 0.740 0.873 0.725 0.741 0.720 0.713
대기오염물질
저감
- A/C tower 활성탄 교체 및 효율 모니터링
- 대기오염물질 원단위 모니터링
- 대기배출원 시스템 운영
TON/억원 0.001853 0.001853 0.0019616 0.001752 0.0024375 0.00167 0.00162
화학물질
배출량 저감
- 비산 오염물질 최소화(방지시설 연결)
- 대기방지시설 운영 최적화
TON/억원 0.05714 0.05714 0.04018 0.0550 0.0341675 0.0510 0.0500
용수사용량
저감
- 우수 활용 조경용수 사용
- 용수 사용시설 점검을 통한 누수 부위 점검
- 생활용수 저감 캠페인
TON/명 47.77
35,829 Ton
47.77
35,829 Ton
49.29
41,208 Ton
45.00
34,200 Ton
50.83
40,409 Ton
43.00
32,680 Ton
41.00
31,160 Ton

연도별 실적 (매출액 대비) ※ 국내 아산사업장 기준

  • 에너지사용 집약도

  • 대기오염물질 집약도

  • 온실가스배출 집약도

  • 폐기물배출 집약도

에너지사용량
구분 단위 2024 2023 2022 2021 2020
재생불가능 연료 LNG TJ 110.89 103.42 98.73 92.45 102.13
LPG(이동) 0.08 0.37 0.32 0.51 0.42
경유(이동) 2.95 3.06 3.11 3.70 3.83
휘발유(이동) 1.68 1.70 1.55 1.24 0.93
에너지 구매 전기 TJ 441.27 405.09 433.07 430.12 363.16
재생에너지 TJ - - - - -
전체 에너지 사용량 TJ 556.86 513.63 536.77 528.02 470.47
에너지사용 집약도 TJ/억원 0.1392 0.1429 0.1240 0.1184 0.1435

▶ 24년부터 배출권거래제 운영에 따른 판교사업장 실적 추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구분 단위 2024 2023 2022 2021 2020
Nox(질소산화물) TON 6.19 5.15 5.75 4.96 4.96
Sox(황산화물) TON 1.59 0.29 0.11 - -
먼지 TON 1.97 1.60 2.16 3.4 3.4
전체 합계 TON 9.75 7.05 8.02 8.36 8.36
대기오염물질 집약도 TON/억원 0.002438 0.001961 0.001853 0.001875 0.002551
화학물질 배출량
구분 단위 2024 2023 2022 2021 2020
유해화학물질 사용량 TON 2,413.04 2,369.93 2,472.98 1,933.39 1,512.00
화학물질 배출량 TON 136.67 144.41 155.59 135.19 46
유해화학물질 원단위 TON/억원 0.6033 0.6594 0.5714 0.4336 0.4613
화학물질 배출 원단위 TON/억원 0.034 0.040 0.0360 0.0303 0.0140
온실가스 배출량
(Scope 1,2)
구분 단위 2024 2023 2022 2021 2020
직접온실가스 배출량
(Scope1)
고정연소 tCO2eq 5,620.04 5,241.20 4,946.20 4,361.43 5,182.17
폐가스 3,324.91 3,041.82 2,692.69 194.61 787.79
이동 322.48 350.77 341.24 373.32 356.32
비상발전기 1.57 - - - -
소계 9,269.01 8,633.79 7,980.13 5,199.36 6,326.27
간접온실가스 배출량
(Scope2)
전기 tCO2eq 21,117.13 19,385.65 19,574.37 20,583.67 17,379.21
열(온수) 38.10 - - - -
소계 21,155.23 19,385.65 19,574.37 20,583.67 17,379.21
총계(Scope1 + 2) tCO2eq 30,424.23 28,019.44 27,554 25,783 24,194
온실가스 배출 집약도 tCO2eq/억원 7.61 7.80 6.37 5.78 7.38

2020 ~ 2021년 온실가스 배출량 (Scope 1,2) 제 3자 검증에 따른 에너지 사용량 재집계로 정정함

1) 전체 온실가스 배출 집약도 =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 (tCO2eq) / 매출액 (억원)

* 검증 원칙과 기준

  • 한국 :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의 배출량 보고 및 인증에 관한 지침 (환경부고시 제 2021-278호) 및 환경부 적합성 평가에 따른 당해년도 배출권 제출 인증량 기준을 따름
폐기물 배출량
구분 단위 2024 2023 2022 2021 2020
일반 재활용 TON 1,988.00 2,067.26 2,039.49 2,198.27 1,708.85
지정 재활용 921.17 1,028.94 1,124.21 1,143.22 878.79
소각 52.19 43.11 2.46 - -
총 배출량 2,961.36 3,139.31 3,166.16 3,341.49 2,587.64
총 폐기물 배출 집약도 TON/억원 0.7403 0.8735 0.7316 0.7495 0.7895
폐기물 총 재활용 집약도 TON/억원 0.7273 0.8615 0.7311 0.7495 0.7895
폐기물 재활용율 % 98.24% 98.63% 99.92% 100% 100%
자원순환 이용률 % 92.21% 97.14% 97.92% 97.81% 96.83%

▶ 사업장에서 발생된 폐기물은 전량 위탁하여 처리함

수자원 사용량
구분 단위 2024 2023 2022 2021 2020
취수(사용량) 상수 TON 40,409 41,208 35,829 44,734 49,406
공업용수 - - - - -
우수(빗물) 420 220 0 0 0
기타 - - - - -
총 용수 사용량 40,829 41,428 35,829 44,734 49,406
수자원 집약도 TON/억원 10.21 11.53 8.28 10.03 15.07
재이용 공정 폐수 재이용 TON 141 111 0 0 0
위탁폐수 발생량 175 44 - - -
배출량(오수) 40,234 41,164 35,829 44,734 49,406
배출량 합계 (오수 + 폐수) 40,409 41,208 35,829 44,734 49,406
재활용율 % 0.35% 0.27% - - -

▶ 취수량- 배출량(오수+폐수)=잔여량 (증발량 및 조경 용수 사용)

수질오염물질 배출량
구분 단위 2024 2023 2022 2021 2020
BOD Kg 0 0 0 0 0
COD 0 0 0 0 0
TOC 0 0 0 0 0
SS 0 0 0 0 0
T-N 0 0 0 0 0
T-P 0 0 0 0 0

▶ 23년 연구소 신축으로 위탁폐수 발생함

원부자재 사용량
구분 구체적 용도 단위 2024년 2023년 2022년 2021년 2020년
원재료
(PI FILM 외 3종)
절연, 도전성 소재 TON 12,924 12,065 15,526 17,690 12,882
부자재(약품) 접착제용 TON 3,612 3,578 4,733 4,304 3,694
재생원료 사용량 TON - - - - -
재생원료 사용비중 % - - - - -
총 사용량 TON 16,536 15,643 20,259 21,994 16,576
원료사용 집약도 TON/억원 4.13 4.35 4.68 4.93 5.06